Home    /   Login    /   Logout
818.624.2190
칼럼
  • Posted by 크리스천 위클리 10/21/24
종교개혁 507년에 부쳐. . . 루터의 개혁 이후와 그 영향
장재웅(워싱턴 하늘비전교회 목사)

금년 10월 31일은 개신교의 원줄기인 마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독일 북부 비텐베르그에서 종교개혁을 일으킨지 507주년이 되는 해이다. 왜 매해 루터의 종교개혁일을 기억하며 지키느냐? 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당시 독일과 전 세계에 미친 루터의 영향은 지대했다. 루터의 가장 큰 업적은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없었고 성직자만 읽을 수 있었던 라틴어로 된 성경과 헬라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한 것이었다. 그 결과 대중들이 자유롭게 성경을 읽고 그 말씀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루터가 헬라 성경을 독일어로 직접 번역한 신약성경은 1522년 9월에 출판되었다. 이것이 9월에 나왔기 때문에 9월 성경(September Testament, 1522)이라고 불리운다.

 

구약성경까지 완역해 신구약성경 합본으로 처음 출판된 것은 1534년이다. 루터는 1546년 세상을 떠나기까지 동료들과 함께 11번이나 성경의 개정을 거듭했고 마지막 개정판은 그가 죽은 후에 발간되었다.

 

영국에 세익스피어가 있다면 독일에는 루터가 있다고 독일 사람들을 자랑스러워한다. 목숨을 건 성경번역과 함께 루터의 설교는 회중에게 전해지고 그의 전례는 노래로 불렸으며 그의 요리문답은 가정에서 읽히고 가르쳐졌다. 결국 그가 성경을 번역하면서 사용한 독일어는 현대 독일어의 표준이 되어 독일어를 통일하는 데에 공헌하게 된 것이다. 당시 그가 성경번역시 사용한 독일어로 오늘날 독일 사람들이 교육을 받고있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독일을 넘어 다른 나라들에서 성경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일에 영향을 미쳤고 개신교 신조와 신앙고백에 큰 영향을 끼쳤다. 영국에서는 윌리암 틴데일(William Tyndale)을 통해 성경번역, 공공기도서는 토마스 크랜머(Thomas Cranmer), 요리문답은 웨스트민스터 신학자들, 찬송가는 아이작 와츠(Isasc Watts)을 통해 진행되었다.

 

1536년 처음 출판 후 20년 동안 8번의 개정판이 나온 기독교 강요의 최종본은 1559년 처음엔 라틴어로 쓰여졌다가 후에 칼빈이 직접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출판하였다. 루터가 성경번역을 통한 종교개혁의 초석을 놓은 선구자라 한다면 그보다 25년 후인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개신교 신학을 총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한 종교개혁 시대가 낳은 최고의 걸작품인 ‘기독교강요’를 완성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독일 북부 비텐베르그를 시작으로 스위스에서는 쮜리히시를 중심으로 쯔빙글리가, 제네바시를 중심으로 칼빈이, 칼빈의 영향을 받은 스코틀랜드는 존 낙스가, 영국에서는 존 웨슬리의 종교개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웨슬리는 1771년 프랜시스 애즈베리(France Asbury, 1745-1816)라는 평신도 설교자를 신대륙 미국으로 파송하게 된다. 애즈베리는 그의 동료들이 인구가 밀집된 안정된 마을의 목회를 선호할 때 그는 웨슬리와 같이 복음을 필요로 하는 곳은 어디든 가야 한다는 결심속에서 죽기전까지 말을 타고 30만 마일 이상을 여행하였다고 한다.

 

결국 루터의 종교개혁 여파는 스칸디나비아를 넘어 미국에 들어오게 되고 미국의 선교사들을 통해 한국에까지 들어오게 된 것이다.

 

1443년 만들어진 한글 우리의 주류언어로 인정받는 과정속에는 세종대왕을 비롯해 기독교의 역할과 노력이 컸다. 존 로스 선교사는 1877년 출간한 교재 ‘조선어 첫걸음’을 통해 띄어쓰기를 처음 도입, 1882년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게 되는데 이것이 최초의 한글성경인 ‘예수셩교 누가복음전서’이다. 존 로스 선교사를 통한 최초의 한글성경의 보급은 1887년 배재학당을 설립한 아펜젤러 선교사와 언더우드 선교사 본격적으로 교육과 의료선교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1894년 한글이 민족의 주류언어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정착하게 된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아울러 이 일은 1896년 주시경 선생을 통해 독립신문이 발간된 계기가 되기도 했다.

 

루터 당시 자주나온 경구는 “성직자의 삶은 평신도의 복음(Vita Clerici est evangeliuum laice)이다”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만 한다(ecclesia semper reformanda)”이다. 기독교의 쇠퇴라는 엄중한 현실 속에서 오늘의 한국교회가 새겨들어야 할 말이다. 아울러 종교개혁가들의 경구들이 주는 의미는 지나온 교회사가운데의 과거의 한 역사만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들이 지금 수행해야 할 현재적인 과제라는 의미를 안고 있다.

 

 

List   
크리스천 위클리
후원교회/기관
The Christian Weekly
9925 Bothwell Rd.
Northridge, CA 91324
TEL. 818.624.2190
Email. cweeklyusa@gmail.com
COPYRIGHT © 2015-2023 THE CHRISTIAN WEEKLY All RIGHTS RESERVED